병원행정관리자협회

병원 조직 개발 시리즈 <6> 병원 조직의 변혁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 : 1609
  • 등록일 : 2015-08-10 00:00
asy(4).jpg

안상윤 건양대학교 병원경영학과 교수

주요약력

- 병원조직인사관리, 제2판, 2014, 보문각. - 의료소비자행동의 이해, 2012, 보문각. 외 10종

혁신의 성공 요소는 문화의 변화, 자율설계 및 학습화

글싣는 순서

1. 병원 조직 관리의 제 문제

2. 병원 조직 개발의 과정

3. 병원 조직의 재구조화

4. 병원 조직 개발의 집단적 접근

5. 병원 직원의 개발과 지원

6. 병원 조직의 변혁

7. 병원 커뮤니케이션의 개발

8. 병원의 작업설계 방향

9. 병원 조직의 계획적 변화와 실행

10. 병원 조직의 세계화

 

조직의 변혁은 어렵다. 말로는 변혁을 많이 하지만 실제 성공으로 연결되는 경우는 드물다. 혁신을 잘 하기로 유명한 중국 삼국시대 촉(蜀)나라 승상 제갈량은 혁신(革新)이란 사람에게서 가죽을 벗겨내는 것과 같이 어려운 일이라고 말했다. 그래도 조직이나 개인은 혁신을 해야 한다. 왜냐하면 혁신하지 않는 것은 혁신하는 것보다 더 위험하기 때문이다. 요즘 다양한 환경변화에 처해 있는 병원들도 당연히 혁신의 물결에 올라타 있다. 그 중에는 매우 큰 효과를 보았다는 병원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병원들도 많다.

 


조직 변혁의 당위성

 

혁신은 예고되는 환경이나 기술의 변화에 대하여 대응하는 전략이다. 혁신을 추진하고자 할때는 그것이 왜 필요한지를 인식하도록 조직에 전파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성원들이 그 필요성을 절감하지 못하는 한 혁신은 실패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동네의 소규모병원으로 남아 있었으면 망했을 병원들이 노인요양병원으로 전환하여 계속 생존하고 있다. 그 이유는 지속적인 인구감소 등으로 급성기 질환자들이 감소하고 노인인구의 증가로 노인요양병원의 수요 증가에 대비해야 한다는 인식의 공유가 있었기 때문이다.

 

조직 변혁의 기본 방향

 

조직은 혁신의 과정에서 가장 먼저 사업 전략의 방향을 새로 설정하게 된다. 조직이 그 새로운 방향을 잘 잡아나가기 위해서는 내부적인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구조를 바꾸고 프로세스를 다시 만들고 문화를 바꾸어야 한다. 앞으로는 기술과 소비자의식 변화에 따라 병원들이 사업의 방향을 바꿔야 하는 일들이 수시로 발생 할 것이다. 한국은 건강사업에 대한 의사 독점이 너무 과도한 나라이다. 이러한 불균형 상황은 소비자들의 선택자유 요구에 의해 일대 전환을 맞을 수밖에 없다. 병원들은 이러한 기술 환경 및 소비자 태도변화에 대비하여 사업의 방향전환을 모색할 때이다.

 

문화의 변화

 

조직 변혁을 구성하는 첫 번째 요소는 문화의 변화이다. 조직문화란 조직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가정, 가치 및 규범들의 특정한 가치를 말한다. 이것은 조직이 고성과를 달성하거나 전략을 세우고 실행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 실제로 공유가치가 부족한 조직에서 구성원들은 새롭게 주어지는 과업을 귀찮게 생각하거나 회피하려는 측면이 크지만, 공유가치가 큰 조직의 구성원들은 도전적으로 매달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자율설계

 

혁신의 두 번째 특징은 자율설계이다. 요즘 세계적인 선도 기업들은 자율설계조직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이처럼 스스로 변화할 수 있는 역량을 갖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훈련이 필요하다. 조직이 자율적으로 변화를 시도하는 풍토가 되기 위해서는 참여의 문화를 정립해야 한다. 억지로 하는 것이 몸에 밴 조직에서 자율설계를 통한 자율적 변혁은 일어나지 않는다. 수동적으로 억지로 하는 변혁으로 인해 많은 병원들이 성과달성에 실패하고 있다.

 

학습조직화

 

조직이 현재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혁신의 패러다임으로 넘어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조건이 있다. 그것은 바로 학습조직화이다. 조직은 지속적 학습경험에 의해 관성적인 학습조직이 된다. 조직이 학습조직으로 변해야 하는 이유는 학습조직만이 현재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수준을 넘어서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조직역량을 갖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많은 병원들이 자발적으로 학습하지 않음으로써 혁신에서 실패한다. 

이전글 다음글 이동
다음글 이용균실장의 병원경영칼럼 <16> 병원의 위기관리
이전글 병원 행정인 칼럼 <16> 의생명산업과 병원클러스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