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조직 개발 시리즈 <完> 병원 조직 개발의 기본
- 등록일 : 2016-02-10 00:00
주요약력
조직 개발의 목표는 성과 향상
글싣는 순서
1. 병원 조직 관리의 제 문제
2. 병원 조직 개발의 과정
3. 병원 조직의 재구조화
4. 병원 조직 개발의 집단적 접근
5. 병원 직원의 개발과 지원
6. 병원 조직의 변혁
7. 병원 커뮤니케이션의 개발
8. 병원의 작업설계 방향
9. 병원 조직의 계획적 변화와 실행
10. 병원 조직의 세계화
병원 간 경쟁이 치열해지다보니 의사별 진료환자의 수, 수술건수, 진료수입과 같은 성과지표가 강조되고있다. 어떤 조직이든지 성과를 달성해야 생존이 가능하지만, 조직을 둘러싼 환경은 변화무쌍하기 때문에 과거의 조직구조로 성과를 향상시키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관리자는 조직을 어떻게든 변화시키려고 한다. 그러나 지식과 기술이 없는 조직개발은 자칫 부작용만 불러온다. 조직 개발을 통해 성과를 향상시키고자 한다면 다음 네 가지 기본은 충실히 지켜야 한다.

목표의 명확화
사람은 누구든지 행동을 통하여 성과를 달성한다. 개인의 행동이 성과와 연결되려면 가장 먼저 조직의 목표가 명확하고 그것이 교육을 통하여 어느 정도는 세뇌가 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목표는 행동을 유발시키기 위한 의도성을 갖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병원 직원들에게 목표와 전략은 아침저녁으로 교육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교육 시에는 반드시 그와 같은 목표가 추진되어야 하는 이유를 확고하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어떤 병원이 ‘친절병원 지향’이라는 목표와 ‘밝은 미소’라는 전략을 수립하였으면 왜 그 방향으로 나가야 하는지에 대한 스토리가 만들어져 병원 내부에 공유되도록 해야 한다.
효과적 과업수행 절차의 확립
모든 조직에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과업이 이루어지고 과업은 성과로 이어져야 한다. 구성원들이 열심히 일은 하지만 과업이 성과와 연결되지 못하고 오히려 클레임으로 이어져 곤혹을 치르는 경우는 종종 일어난다. 이것은 과업의 절차가 조직의 목표에 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개인은 누구나 자유롭게 생각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조직이 표준 이상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목표에 부합하는 과업절차를 확립할 것이 요구된다. 예를들어, 병원에서 고객을 대하는 효과적인 절차를 정해놓지 않으면 모든 구성원들은 각자의 방법으로 고객을 대하려고 할 것이고, 그 결과 고객들은 혼란을 겪게 될 것이다.
역할과 책임의 명확화
조직에서 책임영역이 중복되면 비용의 낭비가 발생한다. 따라서 조직은 부서별 책임 영역과 누가 책임자인지 뚜렷이 드러나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이것을 뒷받침해주는 것은 역할관리이다. 역할관리의 기본은 적합한 인재에게 적합한 역 할이 주어지고 구성원들은 자신에게 기대되는 역할을 정확하게 숙지하고 수행하는 것이다. 사실 이 문제는 조직 관리에 있어서 가장 어려운 문제이다. 의사나 간호사, 각 부서의 과장이나 계장은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정확하게 숙지하고 수행하고 있는가? 하는 것이 조직의 성패에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병원 내 모든 구성원들이 늘 자신의 역할을 명확하게 숙지하고 있고, 그에 걸맞은 책임을 다하면 그 조직은 항상 목표 이상의 성과를 달성할 것이다.
가치와 인정감의 대인관계
조직을 성과 지향적으로 관리하는데 있어서 또 하나 중요한 요소는 구성원들이 스스로 소속감과 가치감을 느끼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개인이 소속감과 가치감을 느끼게 되는 원천은 주위로부터 인정을 받고 있다는 지각이다. 개인이 이러한 인정감을 갖는 것은 원활한 피드백으로부터 비롯된다. 신속하고 배려적인 피드백은 조직 내 인간관계를 승-승으로 만든다. 승-승의 인간관계는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 동력이 되기 때문에 관리자들은 조직의 혈관이라고 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의 흐름이 막히지 않도록 구조와 절차를 구축해야 한다.
다음글 | 이용균실장의 병원경영칼럼 <22> 병원의 나눔경영 |
---|---|
이전글 | 병원 행정인 칼럼 <16> 의생명산업과 병원클러스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