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균 실장의 병원경영칼럼 <4> 병원의 변화관리
- 등록일 : 2014-07-15 00:00
주요약력
병원의 지속경영을 위한 관리방법
국내 병원들도 일반기업처럼 변화를 관리해야 하는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 병원의 변화 유형에는 몇 가지 카테고리가 있다. 첫째, 병원의 구조적인 변화이다. 병원이 신증축을 하거나 비용절감을 위한 외주용역 활동이 이에 해당한다. 둘째, 프로세스의 변화이다. 국내에서도 많이 알려진 업무프로세스혁신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병원에서 환자편의 증대를 위해서 고객중심의 업무 프로세스의 도입 등이 해당한다. 셋째, 조직의 문화적인 변화이다. 고객중심의 병원문화, 직원의 내부역량 강화등이 대표적이다.
조직의 변화관리에 대한 이론적인 측면에서는 두 가지의 다른 접근방식이 있다. 하버드 경영대학원 비어교수와 노리아 교수가 제시한 'E 이론‘과“O 이론’이 있다.
첫째, ‘E 이론’이론은 조직의 변화목표를 단기적이고 가시적인 목표를 설정한다. 미국의 GE사 잭 웰치가 GE사에서‘시장점유율 1,2위 사업 이외는 모두 처분한다’는 변화관리 전략이 E 이론식 변화관리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따라서‘E 이론’식 조직의 변화관리는 가시적인 가치를 창출하지 못하는 부서는 재배치 또는 교체될 수도 있다.
두 번째는‘O 이론’변화관리 방식이다. O 이론은 조직역량의 관점에서 조직구성원의 학습과 개개인의 역량을 강조하고 있다. O 이론에 따른 접근방식은 조직구성원의 적극적인 경영목표에 참여와 수평적인 조직문화 및 구성원들 유대관계를 중요시 한다. 이와 같은 기업문화를 가지고 있는 기업사례로서는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3M 등이다. 이 기업들은 O 이론에 따른 바람직한 기업문화를 개발하고 종업원들이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서 개개인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조직문화를 만들고 기업목표를 달성하였다.
최근 국내 병원에서도 병원의 지속경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변화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병원이 지속경영을 위해서는 내외적 변화를 사전에 인지하고 대처를 함으로서 위기관리를 리더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 및 위기관리방식은 사건이 터지고 난 뒤에 병원위기를 관리하는것보다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병원의 변화와 위기는 사전에 관리할 대상으로 관점을 바꿀 필요가 있다. 비어교수와 노이라교수는 변화에 대한 강력한 접근방식(E이론)과 부드러운 접근방식(O이론) 두 가지 방식을 혼합방식으로 추진할 경우 그 효과가 높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즉, 중장기적으로 병원의 내부 역량을 강화시키고 고객지향적인 문화를 만들고 단기적으로는 진료부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대안이라고 하겠다.
다음글 | [병원경영시리즈 7] 병원의 변화경영 |
---|---|
이전글 | 병원 행정인 칼럼 <16> 의생명산업과 병원클러스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