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황대표의 의료관광 이야기 <4-4> 러시아권 외국인환자 유치
- 등록일 : 2015-08-10 00:00
주요약력
의료기관 유형별 홍보 마케팅
러시아환자 유치를 위한 수용성 태세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 조사 ①의료기관의 기본사항(의료기관 인증, 네트워크 실태), ②전담부서(물적, 인적자원), ③업무프로세스, ④홍보마케팅, ⑤애로사항과 요구도를 분석 등 총 다섯개의 분야를 살펴본다. 그 네번째 홍보마케팅 관련 내용을 살펴본다
패키지상품 마케팅 활용 낮아
과반수가 넘는 의료기관이 호소한 애로사항은 러시아내 홍보마케팅의 어려움, 러시아 음식재료/식당의 부족, 러시아 전문 인력의 부족이었다. 다음으로 러시아어 언어적 문제, 러시아 의료/문화에 대한 이해부족, 의료관광 업체의 부족 등이었다.
홍보/마케팅 측면에서의 준비태세를 보면, 러시아어로 된 홈페이지, 러시아어 소개책자 등에서는 70% 넘는 기관이 준비되어 있었다. 이에 반해서 SNS 마케팅을 실시하고 있는 기관은 37%에 머물렀다.
러시아어 패키지 상품은 종합병원이 50.0%로 가장 많았지만 전체 의료기관으로 보았을 때, 패키지 상품은 43.3%(13개)로 마케팅 활용이 낮았다. 러시아 4대 매체인 TV, 신문, 잡지, 라디오를 이용한 홍보/광고도 전체 의료기관 대비 활용도가 40.0%로 낮았지만, 병원은 66.7%로 과반 이상의 기관이 활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SNS 마케팅 전략수립 필요
우선 의료기관의 SNS 마케팅이 많이 미약하다. 이는 실무자들의 SNS에 대한 이해 부족과 인식부족의 결과일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 메이오클리닉의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페이스북을 운영하고 있는데, 2011년 6월 약39,000명이였던 회원이 3년이 지난 현재 약500,000명으로 급격하게 늘었다. 또한 의료관광으로 유명한 태국 범룽랏병원의 경우에는 유투브 사이트에 검색하면 약 9000개의 관련 영상물들이 검색이 된다. 의료기관에도 정기적인 계획과 전략을 가지고 SNS 통한 지속적인 온라인 홍보마케팅을 전개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관련 교육 및 업계와의 연결노력이 필요하다.
과반수가 넘는 의료기관이 호소한 애로사항은 러시아내 홍보마케팅의 어려움, 러시아 음식재료/식당의 부족, 러시아 전문 인력의 부족이었다. 다음으로 러시아어 언어적 문제, 러시아 의료/문화에 대한 이해부족, 의료관광 업체의 부족 등이었다.

다음글 | 병원 조직 개발 시리즈 <7> 병원 커뮤니케이션의 개발 |
---|---|
이전글 | 병원 행정인 칼럼 <16> 의생명산업과 병원클러스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