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행정관리자협회

분당서울대병원 Mobile EMR <5> Mobile eConsent

  • 등록자 : 관리자
  • 조회 : 1793
  • 등록일 : 2017-04-10 00:00
201704_yjh.jpg

윤종활

주요약력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디지털헬스케어연구사업부 전담


Mobile eConsent

 

 

병원에서 환자나 보호자에게 받는 진료 관련 동의서는 법적으로 중요한 근거 자료가 될 수 있어 의료기관에서 설명과 동의에 대한 기록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종이로 동의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상황별 양식을 출력해서 동의서를 작성한 다음, 작성된 동의서를 취합하여 스캔 후 보관해야 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병원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길게는 10년까지 작성된 동의서를 보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보안 장치가 있는 넓은 공간이 필요하게 된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에서는 2011년부터 전자 동의서를 도입하여 종이 없는 병원으로 운영되고 있다. 기존의 수 백 개의 동의서 양식이 있는 상황에서, 매 해마다 새롭게 만들어지는 동의서 양식을 수용하여 관리할 수 있는 것은, 전자동의서 덕분에 가능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인쇄 및 보관을 위한 잉크, 프린터, 스캐너 등의 장비에 대한 비용을 절감하였을 뿐만 아니라, 막대한 양의 작성된 동의서를 보관하기 위한 종이 보관소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또한 종이를 스캔하는 인력과 종이 동의서를 처리하기 위한 간호사의 인력 소모를 막을 수 있었고 무엇보다 실시간 동의서 검색 및 저장을 통해 업무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거동이 불편한 환자에게도 의료진이 모바일 기기 화면을 보면서 알기 쉽게 설명함은 물론 동의서 작성까지 즉석에서 가능케해 만족도와 편리성을 크게 향상시켰고, 작성된 동의서는 바로 병원정보시스템으로 전송되어 문서 유출의 걱정이 없어, 보안도 한층 강화할 수 있다. 통신구간 암호화, 방화벽, VPN 적용과 망분리를 통한 모바일 DMZ 운영은 이러한 정보보안 측면을 더욱 강화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의 전자동의서의 주요한 특징으로는, 환자에게 검사나 수술이 처방되면 오더 및 수술과 해당 동의서가 매핑되어 있어 환자의 작성대상 리스트에서 상황에 맞는 동의서 양식을 선택하기 쉽다. 다른 동의서 작성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자동의서 서식 목록을 조회하여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또한 동의서에서 필수로 작성되어야 하는 부분들은 별도로 표시하여 혹시나 필수 항목들을 놓치지 않도록 하였고 스마트 디바이스의 고유한 기능을 사용하여 환자의 서명을 받는 것만이 아니라 중요한 부분에 대한 밑줄, 동그라미 등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PC, iOS, Android 모든 기기에서 호환 가능하며 시력이 나쁜 노약자를 위한 확대/축소 기능, 페이지를 추가/삭제 할 수 있는 기능 등은 사용자 편리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였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은 업무 효율성, 비용의 최소화 그리고 환자와의 신뢰 향상을 통해 환자 중심의 진료 서비스로 한 걸음 더 나아가고 있다. 

이전글 다음글 이동
다음글 성과 향상을 위한 조직 혁신 <3> 조직의 명성 강화전략
이전글 병원 행정인 칼럼 <16> 의생명산업과 병원클러스터